제8편 태백_03
제8편 태백(泰伯)_03 03. 증자유질(曾子有疾), 소문제자왈(召門弟子曰), “계여족(啓予足)! 계여수(啓予手)! 시운(詩云), ‘전전긍긍(戰戰兢兢), 여림심연(如臨深淵), 여리박빙(如履薄氷).’ 이금이후(而今而後), 오지면부(吾知免夫)! 소자(小子)!” 증자가 병이 들자 문하의 제자들을 불러 놓고 말하였다. “(부모님께서 주신 몸에 손상된 데가 없는지) 내 발을 펴 보아라! 내 손을 펴 보아라! 『시경』에 ‘두려워하고 삼가기를, 못 가에 서 있듯, 얇은 얼음을 밟고 가듯 하노라’라고 하였다. 그런데 이제부터는 내가 그런 걱정을 벗어나게 되었음을 알겠구나, 얘들아!” - 공자(孔子), 『論語』, 김형찬 옮김, 홍익출판사
더보기
제8편 태백_02
제8편 태백(泰伯)_02 02. 子曰, “공이무례칙노(恭而無禮則勞), 신이무례칙사(愼而無禮則葸), 용이무례칙난(勇而無禮則亂), 직이무례칙교(直而無禮則絞). 군자독어친(君子篤於親), 칙민흥어인(則民興於仁), 고구불유(故舊不遺), 칙민불투(則民不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손하면서도 예(禮)가 없으면 수고롭기만 하고, 신중하면서도 예가 없으면 두려움을 갖게 된다. 용감하면서도 예가 없으면 질서를 어지럽히게 되고, 정직하면서도 예가 없으면 박절하게 된다. 군자가 친족들을 잘 돌봐 주면 백성들 사이에서는 인(仁)한 기풍이 일어나며, 옛 친구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이 각박해지지 않는다.” - 공자(孔子), 『論語』, 김형찬 옮김, 홍익출판사
더보기